항공서비스학과 특징 전공대학 및 전문대학 51개교, 산업대학 및 종합대학 43개교에 2020년 현재 개설 되어있다.

카테고리 없음

항공서비스학과 특징 전공대학 및 전문대학 51개교, 산업대학 및 종합대학 43개교에 2020년 현재 개설 되어있다.

1 3 분전 2021. 4. 15. 01:15
반응형

항공서비스학과 특징  전공대학 및 전문대학 51개교, 산업대학 및 종합대학 43개교에 2020년 현재 개설 되어있다.

 



 


강동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경남도립남해대학 - 항공호텔관광학부
경남정보대학교 - 항공관광과
경복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경북전문대학교 - 항공운항서비스과
경인여자대학교 - 항공관광과
계명문화대학교 - 호텔항공외식관광학부 항공서비스전공
구미대학교 - 호텔관광항공조리학부 호텔관광/항공서비스전공
국제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대경대학교 - 호텔크루즈서비스학부 항공승무원전공
대덕대학교 - 항공여행공항관리전공
대림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대원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동남보건대학교 - 글로벌항공서비스과(일본어/중국어), 항공서비스과
동서울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동원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동의과학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동주대학교 - 항공운항과
두원공과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명지전문대학 - 글로벌비즈니스학부 항공서비스전공
백석문화대학교 - 관광학부 항공서비스전공
백석예술대학교 - 항공서비스학부 항공운항전공, 항공경영전공[A]
부산경상대학교 - 항공관광영어과
부산여자대학교 - 항공운항과
부천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서영대학교 - 항공관광과
서정대학교 - 항공관광과
수성대학교 - 호텔항공관광과
수원과학대학교 - 항공관광과
수원여자대학교 - 비즈니스과 중국항공비즈니스전공
신구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안동과학대학교 - 항공호텔과
안산대학교 - 항공비서사무과, 항공관광영어과
여주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연성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영남이공대학교 - 관광계열 항공서비스전공
영진전문대학교 - 호텔항공관광계열 항공서비스전공
오산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용인송담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원광보건대학교 - 글로벌항공서비스과
인천재능대학교 - 항공운항서비스과
인하공업전문대학 - 항공운항과, 항공경영과
장안대학교 - 항공관광과
정화예술대학교 - 항공호텔관광학부 항공서비스전공[A]
제주관광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청암대학교 - 호텔항공서비스과
충청대학교 - 항공관광과
한국관광대학교 - 항공서비스과
한국영상대학교 - 항공서비스경영과, 중국항공서비스과
한양여자대학교 - 항공과
호산대학교 - 관광항공호텔과




가톨릭관동대학교 - 항공운항서비스학과
경남대학교 - 관광학부 관광항공경영전공
경동대학교 - 관광항공경영학과
경운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경일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광주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광주여자대학교 - 항공서비스학부 항공서비스전공
극동대학교 - 중국항공운항서비스학과, 항공운항서비스학과
김천대학교 - 항공호텔조리학부 항공호텔전공
나사렛대학교 - 항공호텔관광경영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 글로벌항공서비스학과
대구한의대학교 - 글로벌관광학부 항공서비스학전공
동명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동신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동양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배재대학교 - 항공운항과
백석대학교 - 관광학부 항공서비스전공
부산외국어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삼육대학교 - 항공관광외국어학부
상지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서원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세명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세한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송원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신라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영산대학교 - 항공관광학과
우석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위덕대학교 - 항공관광학과
유원대학교 - 호텔항공서비스학과
제주국제대학교 - 항공서비스경영학과
중부대학교 - 항공관광학부 항공서비스학전공
중원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창신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청운대학교 - 항공서비스경영학과[B]
청주대학교 - 항공서비스학전공
초당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한국교통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한국국제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한라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한서대학교 - 항공관광학과
호남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호서대학교 - 항공서비스학과
호원대학교 - 항공관광학과[B]





항공운항학과와 다르게 객실 손님에 대한 서비스를 중점으로 다루는 객실 승무원 양성 학과로서 주로 전문대학이 많으며 일부 4년제에서도 학과가 개설된 상황이다.



실용적인 학과 특성상 연혁은 그리 길지 않은 학교가 대부분이다. 2년제 대학에서 가장 유명하다고 할 만한 인하공업전문대학이 1981년도에 항공운항과를 개설한 것을 시작으로 본다.[1] 4년제에서는 한서대학교 항공관광학과가 독보적인 경쟁률을 보인다.
남초인 운항승무원과는 다르게 객실에서 근무하는 항공승무원이 대부분 여자이기에 남학생은 아주 적게 선발하기에 지원하는 남학생들은 주의를 하자. 남학생은 뽑지 않는 대학이 대부분이다.[3] 대부분 입학 시에 면접을 보는데 학과 특성상 어학능력과 봉사능력을 중점으로 평가하며, 몇몇 대학은 어학성적 우수자나 외국에서 살다 온 학생을 대놓고 우대한다. 이런 경우 공인영어성적과 간단한 자체 어학평가를 한다. 전문대학 기준으로 입학 어학 성적은 그렇게 높지 않은 편. 대체로 토익 450, HSK 3급 이상이상이면 특기자 전형에 지원이 가능하다. 




2년제는 아직까지 면접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 아무리 우수한 수학 능력을 가진 학생이라고 해도 외모가 뛰어나지 않으면 면접 때 면박을 주거나 관심을 안 가질 정도이다. 외모가 예쁘고 마른 사람이 합격할 확률이 높은 편다. 하지만 4년제는 전문대보다는 외모를 덜 본다. 일부 학교 같은 경우 면접장에 들어가자마자 신장 기준선을 만들어서 그 이하 학생의 경우 바로 불합격시키는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키 역시 작은 사람들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 대학도 있다. 왜 항공서비스학과인데 키를 안보냐라는 의문을 가질수도 있는데, 다른학과도 마찬가지지만, 그 학과를 나온다고 해서 꼭 그 쪽으로 취업하지 않는다.




수시기준 경쟁률은 지원 제한이 없는 전문대학 기준으로 실용음악과 다음으로 가장 강하다고 할 정도로 엄청나다. 보통 경쟁률 30~40은 기본으로 먹고 가는 편.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운항과의 최대 경쟁률은 159:1까지 올라갈 정도. 특기자 전형도 경쟁률이 어느정도 나온다.

원래는 면접 60%, 성적 40%였는데 점점 성적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들어 4년제는 면접 50%/성적 50% 또는 면접 40%/성적 60%로 점점 성적비중이 높아져 매년 거듭날 수록 성적 비중인 높아질거라 예상된다.

항공서비스학과가 개설된 대학교가 아직 얼마 없을 땐, 항공사에서 항공서비스학과를 졸업한 학생보다는 타 학과를 졸업한 학생이 훨씬 많았다. 하지만 요즘 항공서비스학과가 개설된 학교가 예전에 비해 많이 늘었다. 실제로 승무원에게 물어본 결과, 타 학과를 나온 승무원, 항공서비스학과를 나온 승무원 비율이 거의 5:5 수준으로 같거나 항공서비스학과를 나온 승무원이 조금 더 많다고 한다.

과거 항공 서비스학과는 학교에서 서포트를 해주지 않은 학교가 대부분이었는데, 승무원도 스펙이 중요하기 때문에 요즘은 대부분의 항공서비스학과는 방학이여도 학교 나와서 토익 특강을 들어서 목표 토익 점수를 따야한다.  몇몇 학교는 항공서비스학과 전체 학생을 다 어학연수/교환학생을 보내주는 학교도 있다.

그리고 대형항공사부터 시작해서 저가항공사, 외항사 실습 또는 체험을 가는 경우도 많다. 항공서비스학과 개설된 학교 중에 항공사 실습이나 체험을 안나가는 학교는 거의 없다. 심지어 타 학과 학생들은 하기 힘든 항공사 실습이나 체험은 항공사 취업할 때 굉장히 도움이 된다. 스펙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많으니까 요즘 항공사에 항공서비스학과 출신 승무원이 많아진 이유 중에 하나라고 꼽을 수도 있다. 



 


이렇다보니 여러모로 빡쎄고 힘든 학과로도 유명하다. 같은 학교 다른 학과 학생들은 항공과 학생들을 보면 안쓰럽고, 보는 자신이 힘들다 할 정도. 2년제는 몇몇 학교들만 과복이 있지만, 4년제는 모두 과복이 있다. 매일 스타킹을 필수로 여기는 과복을 입고 구두를 신고 학교를 다녀야 한다. 항공과는 '사복데이'라는 게 있을 정도로 학교 다니면서 사복 입는 날이 거의 없다.

 



복장 규정
앞서 말했듯이 진선미를 강조하는 학과인 만큼 복장 규정도 엄격한데, 그냥 평범한 사복을 입는 날에는 자유롭게 해도 되지만 학과에서 정한 제복(일명 과복)을 입는 날이면 얘기가 달라진다. 단순한 학과 잠바나 티셔츠 혹은 호텔과나 비서과 학생들이 입는 평범한 정장들과는 달리, 학교와 학과를 대표하는 복장이기 때문에 웬만한 교복이나 군복 못지않게 혹은 그것보다 더 엄격하기도 하다. 학교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매일 과복을 입는 게 아닌 요일을 정해놓고 과복을 입는다. 그래서인지 교수들은 과복 입는 날에는 실무형 수업을, 과복 안 입는 날에는 이론형 수업을 대부분 진행한다.

과복을 착용할 때는 실제로 기내에서 근무하는 것처럼 수업을 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규정은 다음과 같다. (학교마다 차이가 조금씩 있음)




1. 안경을 착용해서는 안 되며 시력이 좋지 않을 경우 라섹수술을 받거나 렌즈를 낀다.
2. 악세서리와 벨트는 검소한 범위 내에서만 한다.
3. 항상 셔츠를 바지나 치마 안으로 집어넣고 옷에 구김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4. 구두를 착용하되, 발이 아플 것을 대비해 운동화나 슬리퍼를 여분으로 들고 와도 된다.
5. 구두 색깔은 검은색으로 맞추며 너무 높은 굽을 착용해서는 안 된다.
6. 남학생의 경우 와이셔츠에 달린 어깨 견장을 달고 있어야 하고 넥타이를 반드시 메야 한다.
7. 남학생들은 흰 양말을 신어서는 안되며, 왁스나 무스로 머리카락이 흩날리지 않게 고정하며 이마가 보이게끔 머리 세팅을 해야 한다.



8. 여학생의 경우 헤어두를 한 뒤에 헤어핀을 반드시 머리에 달고 있어야 하며 사복으로 갈아입기 전까지는 머리를 풀어서는 안 된다.
9. 여학생들의 메이크업과 매니큐어는 기본 승무원 메이크업에서 끝내야 하며, 매니큐어는 투명색이나 스킨색을 중점으로 바른다.
10. 여학생들은 목에 스카프를 매고 있어야 한다.



11. 스타킹은 살색이나 커피색으로만 착용해야 하며 여름에도 스타킹을 착용해야 한다.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 여분으로 챙겨와도 된다.
12. 마의를 항상 착용해야 하며 마의에는 이름표를 달고 있어야 한다. 윙 수여식을 한 학생의 경우 윙뱃지도 달고 있어야 한다.
13. 겨울에는 과복 코트를 착용해야 한다.
14. 수업 중에는 다리를 꼬거나 뒷짐을 져서는 안되며 남자는 차렷 자세, 여자는 공수자세를 한다.
15. 실무 수업 중에는 다나까를 쓴다.

렌즈 착용의 경우에는 실제로 비행기에서 운항 중 비상사태가 발생할 것을 대비해 착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학교에 따라 때로는 구두도 과복으로 맞추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스타킹은 살구색이나 커피색 둘 중 선택해서 착용하면 되지만 교수들은 주로 커피색을 선호한다. 더 건강해 보이기 때문이라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