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시장가는길

카테고리 없음

가락시장가는길

1 3 분전 2022. 3. 15. 18:25
반응형

가락시장가는길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에 위치한 서울시에서 가장 큰 농수산물 종합 유통 도매 시장. 정식 명칭은 '가락동 농수산물 종합 도매 시장', 약칭 '가락시장'으로 불린다.



서울 동남권 최대의 도매시장이며 전국 각지에서 생산한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을 집하(集荷)해서 유통, 관리하거나 경매한다.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에서 관리를 총괄하고 있으며 시장 내에 공사가 입주해 있다.

1963년 예전 경기도 권역에 속했던 서울 동남권 권역이 서울특별시로 행정 편입되고 서울 지역의 급격한 인구증가를 대비하고 동남권 유통 도매시장 활성화 및 판로개척을 목적으로 하여 1985년 개장하였다.



가락시장 자리는 예전 경기도 광주군(現 경기도 광주시) 일원에 속하여, 논밭과 비닐하우스 단지였던 곳이었다. 이곳을 인수하여 당시 용산시장에 상주했던 상인들을 대상으로 가락동 이주 요청에 따라 1985년 공식적으로 유통망을 시작하게 되었다.

1985년에 수산물 시장을 먼저 열었으며 이듬해 축산물 시장이 개장되었고 서울올림픽이 열렸던 1988년에는 청과시장이 개장되었다.


이후에도 건어물 시장, 채소 시장 등을 연이어 열었으며 가축을 도축하는 도축장과 소매시장, 수산물 상품시장 등이 부가적으로 있다.

2009년부터 도매기능 정상화를 위한 영업권역 분리, 불합리한 물류 동선 및 하역체계의 효율화를 위한 노후시설 재건축, 유통 비용 절감을 위한 물류시설 확충 등을 목적으로 2025년 완공 목표로 현대화사업을 시작했다. 공영 도매시장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갖추기 위해 도매와 소매권역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눈과 비, 햇빛만 겨우 가리는 현재의 가설 경매장도 유럽 도매시장처럼 정온이 유지되는 건물형태로 바꾼다고 한다. 도매시장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유통인 이전 → 기존 시설물 철거 → 건물 신축 → 유통인 입주' 과정을 반복하는 '순환재건축' 방식으로 진행 중이다.



애초에 물류구조의 효율화를 통해 유통 비용을 줄인다는 취지로 시작된 사업이지만 출하자와 유통인, 지역주민 등간의 이해관계가 복잡히 얽힐 수밖에 없다. 1단계 사업은 '가락몰'이라는 건물을 지어 가락시장 전역에 흩어져있는 수산, 축산, 청과, 건해, 식가공품 임대상인을 이전시키는 컨셉인데, 청과상인들이 지하층 배정에 반발하여 2-3년간 반대 투쟁에 나서는 바람에 이전이 다소 지연되었다. 건물이 완공된 2015년부터 시작된 투쟁은 2017년 4월 이전 합의를 이뤄내 마무리 되었다.



새로지은 가락몰 업무동은 공실률이 80%란 기사가 있었으나 현재는 공실률이 10% 미만이다. 8호선, 3호선, 분당선 전철라인을 가진 교통요지라는 특성과 농수축산물을 두루 갖춘 상권특성으로 인해 불황기에도 공실률이 적은 편이다. 또한 수서역의 SRT 개통으로 자갈치시장을 비롯한 경상권에서도 접근성이 훨씬 좋아졌다.

대신 가락몰로 이전하면서 일반 고객 접근성이 좋아진 수산시장이나 식자재상점들은 공간이 좀 부족한 문제는 있다.

노량진수산시장, 자갈치시장과 함께 수산물을 직접 사서 먹을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한데, 상기한 두 시장과의 차이이자 비교우위는 '해산물과 고기를 같이 먹을 수 있다'는 점이다.
가락시장 현대화는 상인들의 수렴을 거쳐 설계안이 계속 수정되었고 어느 정도 윤곽이 잡혔다.

다만 기존에 옥상 공원화는 찾아보기 힘들정도로 작아졌고 주차장과 태양열 전지들이 반기게 될 예정 녹지는 가로폭 30m의 녹지가 생긴다고 한다 사실상 기존의 옥상 공원은 시장의 효율성을 위해 대부분 주차장으로 바뀌게 될 예정. 이에 주민들은 불편하게 받아들인다.

청과시장, 채소시장, 수산물 및 건어물 시장, 축산물 시장, 건고추 매장, 마늘 매장, 경매장 등이 있으며 건어물 창고, 휴게시설 등의 편의시설이 있다.

주요시설
청과시장, 채소시장, 수산물 및 건어물 시장, 축산물 시장, 건고추 매장, 마늘 매장, 경매장 등이 있으며 건어물 창고, 휴게시설 등의 편의시설이 있다.

인근 교통수단

가락시장역은 가락시장의 동남쪽 구석으로 치우친 곳에 있다. 3호선과 8호선의 환승역.

동서울터미널 - 천안, 아산 , 평택, 안성 등 일부 시외버스가 이 곳에 정차한다.

아래는 근처에 위치한 정류장과 경유하는 시내/시외/공항버스 목록이다. 시외버스 3007번과 1309번, 1312번은 GBIS에 잡히지 않아 몇 분 뒤에 도착하는지 알 수 없으니 주의.
가락시장 북측(양재대로)
농수산물가공처리장 24-388(서울) : 343, 2412, 4312, 강남05
가락시장.헬리오시티 24-389(서울), 92030(경기) : 2412, 4312, 강남05, 1007-1, 6900
가락1동주민센터 24-390(서울) : 343, 2412, 4312
가락시장 남측(중대로)
문정2동주민센터.청소년수련관 24-333(서울), 92035(경기) : 333, 401, 461, 3011, 3413, 3416, N37, 16, 87, 101, 331, 1007
훼미리근린공원 24-334(서울), 92041(경기) : 333, 401, 461, 3011, 3413, 3416, N37, 16, 87, 101, 331, 1007
가락동 24-735(서울) : 6300(고덕역 - 명일역 - 양재대로 - 수서역 - 인천국제공항)
가락시장남문 24-387(서울), 92036(경기) : 333, 401, 461, 3011, 3413, 3416, N37, 16, 87, 101, 331, 1007
가락시장.가락몰 24-386(서울), 92044(경기) : 333, 401, 461, 3011, 3413, 3416, N37, 16, 87, 101, 331, 1007
가락동 24-741(서울) : 6300
가락시장 동측(송파대로)
가락시장.가락시장역(중) 24-009(서울), 92128(경기) : 302, 303, 320, 350, 360, 362, 3012, 3217, 3317, 3413, 3422, 9403, N13, 16, 30, 31, 32, 70, 101, 119, 500-1, 1007, 1009, 1112, 1117, 1650, 5600, 5700, G2100, M5333, M5342, 1309, 1310, 1312, 1801, 3300, 8142, 8147, 3007(성남터미널 - 장현 - 양문 - 운천 - 신철원 - 와수리 1일 5회 경기고속운행), 8153(동서울터미널 - 공도, 대림동산, 안성, 동아방송대학), 동서울 - 공주 - 부여(시외, 금남고속)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363(서울) : 301, 343, 3319, 87, 100
가락시장.가락시장역(중) 24-010(서울), 92139(경기) : 301, 302, 303, 320, 350, 360, 362, 3012, 3217, 3317, 3422, 9403, N13, 30, 31, 32, 70, 100, 119, 500-1, 1009, 1112, 1117, 1650, G2100, M5342, 1309, 1310, 1312, 1801, 3300, 8142, 8147, 8153, 3007(성남터미널 - 장현 - 양문 - 운천 - 신철원 - 와수리 1일 5회 경기고속운행), 동서울 - 공주 - 부여(시외, 금남고속)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385(서울), 92047(경기) : 343, 3319, 3413, 16, 87, 100, 101, 1007, 5600, 5700, M5333


지방에서 가락시장으로 가고자 할 경우, 일부 노선(위 참조)이 가락시장 정류장에 정차하니 평택, 안성, 천안, 아산, 안산, 인천, 공주, 부여 등지에서 가락시장으로 갈 경우 이들 시외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현재 기준으로 가락시장 미경유 시외버스 이용시에 가장 가까운 터미널은 동서울터미널과 성남시외버스터미널이며,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센트럴시티, 남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도 3호선으로 바로 올 수 있다. 이외 2016년 12월 9일부터 탄천 건너 수서역에 SRT가 개통하여 서울시외로부터의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반응형